본문 바로가기
생활|교통

건물주가 아이들에게 준 것은 안전 그 이상

by 미래안전지킴이 2023. 4. 12.

임대수익을 포기하고 건물사이 뚤어서 통학로 열어준 건물주가 있어 화제

전주에서 과일가게 운영하는 박주현 씨.. "아이들 안전이 우선이죠"

 

<출처 : 국토지리원 지도 캡처, 연합뉴스>

 

건물주가 임대 수익을 포기하고 동네 아이들을 위해 통학로를 내준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요즘 같은 시대에 감동과 훈훈한 소식을 전해주고 있다.

 

화제의 인물은 전북 전주시 인후동에서 과일가게를 운영하는 박주현(55)씨다.

박씨가 운영하는 상가건물에는 과일가게와 야채가게 사이에 기다란 통학로가 있다.

 

근처 대단지 아파트에 사는 아이들은 대부분이 좁은 통로를 지나 학교로 간다. 통로에 길이 생긴건 10년전에 박씨가 주차장이었던 이 공간에 상가를 세우면서 건물한 가운데를 뚫었다.


박씨는 "당시 건물을 지으려고 주변에 쇠파이프를 둘러 뒀는데, 하루에 200∼300명의 아이들 이 쇠파이프 아래로 기어가 지나갔다"며"하지 말라고 해도 자꾸 지나 다니는 아이들을 보면서 여기를 막아 상가를 세워버리면 아이들은 어떡하나 고민하다가 길을 냈다"고 설명했다.

당연히 쉬운 결정은 아니었다. 약99㎡인이 통학로를 메워 세를 놓으면 다달이 100만원은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아내와 고민 끝에 아이들의 등굣길이 안전해지는 길을 택했다.
그렇게 인후초등학교로 가는 지름길이 생겼다. 이 길 덕분에 동네아이들은 차가 지나다니는 이면도로로 돌아가지 않고 바로 학교로 갈 수 있게 됐다.

 

통로 앞 뒤로 '인후초등학교 가는 길'과 '아파트 가는 길' 푯말도 박씨가 직접 만들어 붙였다. 박씨는 "하루에도 수백명의 아이들이 이 통로를 지나가는 걸 볼 때면 마음이 뿌듯하다"며 "대전 어린이보호구역사고 등 어린이교통사고뉴스를 볼 때 마다 마음이 아픈데, 아이들이 안전하게 지날 수 있는 길이 더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출처 : 연합뉴스>

 

연합뉴스 기사의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우리나라 언론은 더 나아지고 좋아질 것이라고 믿으며 응원합니다.

 

 

∞ 발행인의 생각

스쿨존, 어린이보호구역 강화가 이슈였던 저번부터 "너무 심한거 아니냐", "내비게이션도 어린이보호구역 피해서 가자" 등의 말이 나올때 부터 화가 치밀어 올랐고 싫었던 게 내 생각이었다. 발행인도 신경 들써서 차선이 많은 어린이보호구역에서 과태료도 몇 번 내기도 하였다. '그래도 좋은데 쓰이겠지', '더 좋은 환경을 아이들에게 주겠지' 등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어린이보호구역 조정, 5030 조정, 효과를 보고 있는 정책들은 바뀌어지고 있다. 그것은 결국 속도제한 시간대 별로 하자는 목소리까지 나오게 하였다.

당연히 차선이 많고 큰 대로와 연결된 곳은 속도조정은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나 그것도 신중하게 검토하고 검토할 사항이다. 그리고 등학교 시간을 제외하고 속도 제한을 조정한다? 이것은 등하교 시간 말고는 아이들은 나오지 말라는 것과 같다. '주말인데 학교 안 가는데 무슨 스쿨존?' 뭐 어떻게 들으면 논리가 맞아 보이나 절대 맞지 않다. 정부가 있고 나라가 있고 국가가 존재하는 이유는 분명 분야별 취약계층, 사회적 약자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다. 스쿨존이 아니라 아이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은 키즈존이 있었으면 한다. 왜 멀쩡하게 잘 크고 있는 아이들을 어른이 잘못해서 많은 사람을 화나게 하고 슬프게 하고 있는 것인가, 단지의 어른들의 편의를 위해서 아이들이 희생되고 희생하고 있다. 미안하지도 아니한가

그리고 저출산대책위원회 한다고 하고 답답하다. 저출대책위원회 좋다, 해야 한다. 하지만 1번은 최고의 우선순위는 태어난 아이들부터 좋은 환경에서 안전한 환경에서 잘 지낼 수 있게 하자 제발 부탁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