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기후위기51 2030년까지 국토 30% 보호지역 등으로…‘자연공존지역’ 발굴·확대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수립…훼손된 생태계 복원 및 도심 숲 확대 정부가 2030년까지 전 국토의 30%를 보호지역 등으로 관리하도록 노력하고 훼손된 생태계 복원은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도시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숲과 수공간을 도시 내에 더욱 확대하며 산림 등 탄소흡수원은 더욱 늘려가기로 했다. 환경부는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5년간의 계획을 담은 범부처 최상위 계획인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24~2028)’이 12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수립된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은 ‘현명하게 지키고 균형있게 이용하여 모두가 지속가능하게 자연의 혜택을 누리는 사회’라는 비전 아래 추진한다. 이에 ▲생물다양성 보전목표 달성을 통해 국제사회 일원으로서 의무 이행 ▲자연의 .. 2023. 12. 26. 산사태 주의보 발령 3단계로 개편…주민 대피시간 추가 확보 ‘토사재해 원인분석 및 인명피해 방지대책’ 발표…대피소 안내 등 강화 ‘산사태위험지도’ 재구축으로 예측정보 확대…취약지역에 사방댐 등 확대 정부가 산사태 발생 시 대피시간을 추가로 확보하고자 현행 2단계인 산사태 주의보·경보에 ‘예비경보’를 추가해 3단계인 ‘주의보 → 예비경보 → 경보체계’로 개선한다. 그동안 산사태 주의보는 토양함수지수 80%에서 발령해 100%에 이르면 경보로 전환했다. 그러나 토양함수지수 90%에 예비경보를 발령하면 90%에서 100%까지 평균 소요시간 1시간을 감안해 약 1시간의 대피 시간이 확보된다. 행정안전부는 13일 이같은 내용의 ‘토사재해 원인분석 및 인명피해 방지대책’을 발표하며 기후변화로 극한 호우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산사태 등 토사재해로 인한 인명피해를 예.. 2023. 12. 20. 2027년까지 하천쓰레기 해양 유입량 30% 이상 줄인다 정부는 오는 2026년까지 바다로 유입되는 하천쓰레기를 체계적으로 차단·수거하는 관리체계를 갖춰 2027년까지 하천쓰레기의 해양 유입량을 2023년 대비 30% 이상 줄인다. 해양수산부는 오는 8일 조승환 장관 주재로 관계부처 차관급 공무원과 공공기관장이 참석하는 해양폐기물관리위원회를 열고 ‘하천쓰레기 해양 유입 저감 대책’을 심의해 발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태풍, 집중호우 증가로 하천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는 쓰레기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해수부 주관으로 하천 등 관리주체인 환경부·산림청·지자체·수자원공사·농어촌공사 등이 함께 수립했다. 먼저, 하천쓰레기의 해양 유입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주요 댐, 하굿둑에서 쓰레기를 수거함과 동시에 시범적으로 추진.. 2023. 12. 13. 겨울철 안전위험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집중 신고하세요! 겨울철 안전위험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집중 신고하세요! -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석 달간, ‘겨울철 재난·안전 위험요인 집중신고기간’ 운영 - 대설, 한파, 화재, 산불 관련 위험요인 발견 시 ‘안전신문고’로 신고 - 재난 예방 효과가 큰 우수 신고는 최대 100만원 포상금(상품권) 지급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겨울철 재난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12월 8일부터 내년 2월 29일까지(석 달간)를 ‘겨울철 재난·안전 위험요인 집중신고 기간’으로 정하고, 안전신문고를 통해 적극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안전신문고는 국민 누구나 생활 주변의 재난·안전 위험요인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누리집, 앱)입니다. * (누리집) www.safetyreport.go.kr / .. 2023. 12. 8. 국민안전과 밀접한 우수 재난안전제품 발굴․보급 국민안전과 밀접한 우수 재난안전제품 발굴․보급한다 - 2024년 제1회 재난안전제품 인증 신청 접수(11.28.~12.27.) - 국가·지자체 수의계약, 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심사 가점 등 혜택 부여 ㄱ씨는 사고로 차량에 불이 붙어 큰 재산피해를 입을 뻔 하였으나 ‘고내열 원단 및 재봉사를 적용한 질식소화포’를 활용하여 화재를 조기 진압함으로써 피해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해당 질식소화포는 올해 ‘우수 재난안전제품’으로 인증받은 제품으로 불연성 원단을 차체에 덮어 산소를 차단하는 기능으로 불이 난 차량을 덮는 간소한 과정만으로 화재의 초기 진화가 가능했습니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국민안전과 밀접한 우수 재난안전 제품을 발굴·보급하기 위해 2024년 제1회 ‘재난안전제품 인증’ 신청을 11월 2.. 2023. 11. 29. 이전 1 2 3 4 5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