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난|기후위기

61일간 전국 안전취약시설 집중점검, 6,201개의 보수·보강 대상 발굴

by 미래안전지킴이 2023. 8. 8.
공무원·민간전문가 등 15만 명이 참여한 집중안전점검 결과 발표
지자체 소관 캔틸레버교 1,722곳 등 안전취약시설 29,038개소 점검
4,925개소 현지시정 완료, 6,201개소 보수·보강, 178개소 정밀안전진단 예정

행정안전부는 지난 417일부터 616일까지 61일간 실시한 집중안전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29개 중앙부처, 243개 지자체 등 409개 기관*의 약 15만 명(공무원, 민간전문가 등)의 점검 인력이 참여하여 안전취약시설 29,038개소를 점검했고,  특히, 정자교 붕괴사고(4.5.)를 계기로 지자체 소관의 전국 1,722개의 캔틸레버교**의 안전을 점검했다.

* 29개 중앙부처, 243개 자치단체, 120개 공공기관, 17개 민간단체

** 교량 측면에 인도 등이 한쪽만 고정된 캔틸레버 구조()로 설치된 교량

 

<점검시설 구분>
건축분야(공공주택, 공공청사 등) 5,658개소 / 생활‧여가분야(체육시설, 공연장 등) 5,399개소 / 환경‧에너지분야(발전소, 정수장 등) 2,230개소 / 산업‧공사장분야(건설·산업현장 등) 1,819개소 / 교통분야(도로, 교량 등) 5,181개소 / 보건‧복지분야(의료기관 등) 2,687개소 / 기타 6,064개소

 

 

점검 결과, 11,304개소에서 안전 위험요소가 발굴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건축물 노후화로 인한 건물 외벽 및 난간 등 균열·파손, 구조물 철근 노출, 산업·공사장 낙하물 방지망 미설치, 방파제 안전난간 일부 파손, 수영장 타일 탈락 등이 지적되었다.

 

그 중 4,925개소(44%)는 배수로 청소, 비상구 적치물 제거 등 경미한 사항으로 현지 시정조치 완료하였고,

- 6,201개소(55%)에 대해서는 보수·보강 예정이며, 보다 세밀한 안전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178개소(1.6%)는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자체 소관 전국 1,722개 캔틸레버교량을 점검한 결과, 372 교량에서 위험요소를 발견했고, 그중 18개소는 현지 시정 완료, 290개소는 보수·보강, 64개소는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할 예정이다.

 

특히, 주민이 직접 점검대상을 신청하는 주민점검신청제를 시행해 368개소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실시하여, 보수보강이 필요한 122개소와 정밀안전진단이 필요한 6개소를 발굴하였다.

 

아울러, 점검기관의 책임성을 강화하고 점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관장이 직접 참여하는 현장점검을 768, 점검회의를 538회를 실시했다.

정부는 이번 점검에서 발견된 보수보강 대상 6,201개소 중 4,256개소(69%)와 정밀안전진단 대상 178개소 중 121개소(68%)는 올해까지 조치 완료할 예정이다.

 

긴급 보수보강이 필요한 시설은 8월 예정된 재난안전특교세 지원을 통해 신속하게 위험요소를 제거할 예정이다.

<출처 : 행정안전부>
 
 
∞ 발행인의 생각
아쉽다, 아쉽다, 아쉽다.
그냥 아쉽다. 이번 점검에서 눈에 띄는 건 '정자교' 
왜 우리나라는 사고가 나고 나서 점검하고 생각하고 이행할까?
절대로 TV 수신료가 아깝지 않은 한 방송사의 프로그램에서 보았다.
"우리나라의 재난관리, 안전관리는 선진국과 달리 예방에 집중하지 않고 대응, 복구에 치중한다. 그것도 치중하려고 하는 게 아니고 사고가 나서 원래 대응, 복구는 사고 난 후에 하는 것이다. 그래서 공무원들이 안전관련부서를 기피한다고 한다. 
왜? 대응, 복구 후에 책임자 찾아서 징계, 처벌 등을 하니까....." 
이런 보도자료 좋다 알려줘야 한다. 그런데 이제는 제발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안 했으면 좋겠다.
그리고 더이상 문제없이 탈없이 세계 잼버리 잘 마무리 되었으면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