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질환이란
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질환으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온열질환의 종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부르는 일사병은 열탈진이다.
열탈진은 응급조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시원한 곳 또는 에어컨이 있는 장소에서 휴식합니다.
- 물을 섭취하여 수분을 보충해줍니다.
※ 땀을 많이 흘렸을 경우에는 이온음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과당함량이 높은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 증상이 1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회복되지 않을 경우,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적절한 진료를 받습니다.
- 병원에서 수액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합니다.
열사병은 체온을 조절하는 신경계가 외부의 열 자극을 견디지 못해 그 기능을 상실한 질환으로 땀이 많이 나지 않고 몸이 뜨거워지며, 심한 두통, 오한, 저혈압, 메스꺼음, 어지러움이 나타난다.
응급조치로는 다음과 같으며 절대 음료를 마시도록 하면 안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119에 즉시 신고하고 아래와 같이 조치합니다.
-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깁니다.
- 환자의 옷을 느슨하게 하고 환자의 몸에 시원한 물을 적셔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몸을 식힙니다.
※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음료를 마시도록 하는 것은 위험하니 절대 금지합니다.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수칙 < 온열질환은 작은 실천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시원하게 지내기
- 샤워를 자주 합니다.
-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을 입습니다.
물 자주 마시기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자주 마십니다.* 신장질환 등 수분 섭취를 제한해야 하는 질병을 가진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합니다.
더운 시간대에는 활동 자제하기
-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의 가장 더운 시간대에는 야외작업, 운동 등을 자제하고 시원한 곳에 머무릅니다.※ 자신의 건강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를 조절합니다.
매일 기온 확인하기
- 기온, 폭염특보 등의 기상상황을 수시로 확인하여 폭염 시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합니다.
<출처 : 질병관리청>
'생활|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교통공단-국립공원공단, 안전문화 정착 업무협약 (0) | 2023.08.09 |
---|---|
보행안전을 위한 현재와 미래의 기술..지속적이고 결국은 실천 (0) | 2023.08.07 |
한국타이어, 휴가철 고속도로 무상 안전점검 서비스 실시 (0) | 2023.08.01 |
폭우, 호우 시 운전자에게 중요한 것은? 감속운전과 안전거리! (0) | 2023.07.19 |
정부와 지자체 국민 안전교육 이행실적 점검 (0) | 2023.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