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미디어|문화

일본 초등교과서 '징병' 강제성 약하게 하고... 독도 영유권 주장 강하게.. 이에 외교부, 교육부 항의

by 미래안전지킴이 2023. 3. 29.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병' 관련 쓰여있는 문구를 약화시킨 일본 초등교과서(출처 : 연합뉴스)

 

일본 문부과학성(우리나라의 교육부 역할)은 이번 검정심의회에서 2024년부터 쓰일 교과서 149종 심사를 통과했다고 발표했다. 통과한 초등학교 교과서 중 3~6학년 사용할 사회 교과서 12종, 지도교과서 2종에서 징병(군사를 강제적 모집)을 약화시키는 '지원'을 추가하였다.  

기존의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의 병사로서 징병됐다"는 표현을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에 병사로 참가하게 되고, 후에 징병제가 취해졌다"로 변경했다.

또한 일본 문교출판의 6학녀 사회 교과서에는 관동대지진의 상세한 설명을 줄였다. 관동대지진 발생했을 때 일본 고위층에서는 사회의 혼란을 막기 위해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넣었다" 등의 헛소문을 유포해 조선인 학살이 있었다. 

모든 교과서에는 "독도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기술했다. 독도 관련 기술에서 "한국에 점거되어 일본은 항의를 하고 있다", 라고 기존의 내용을 "한국에 불법으로 점거되어 일본은 항의를 하고 있다"로 교체 되었다.

 

일본 초등교과서 한국사, 독도기술 내용 변화(출처 : 연합뉴스)

 

이에 외교부는  '日, 교과서 통한 부당한 역사·영토주장 멈추고 책임있는 행동으로 역사 직시해야' 한다는 성명을 내었다.

주된 내용으로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대한민국의 고유 영토인 독도에 대한 부당한 주장을 일본의 초등교과서에 담고 있고 이것을 검정 통과시킨 것에 대한 강력한 항의를 한 것이며 독도에 대한 일본의 어떠한 주장도 수용할 수 없을 분명히 하고 있다. 또한 강제동원 관련 표현, 서술을 희석하는 방향으로 변강된 것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일본 정부가 스스로 밝혀온 과거사 관련 사죄와 반성의 정신을 진정성있게 실천해 나가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일본의 검정 결과 발표에 대한 교육부는 '대한민국의 역사와 영토 주권을 부정하는 교솨서, 즉각 시정하라' 성명을 내었다.주된 내용으로 우리 정부의 지속적인 시정 요구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지난 수십 년간 우리 영토와 역사에 대해 부당한 주장을 반복해오고 있다고 하였으며 특히,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를 ‘일본 고유의 영토’로 기술한 일본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수정·보완본*을 일본 정부가 또다시 검정 통과시킨 것에 대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강력히 항의하며, 즉각 시정할 것을 촉구한다고 하였다.

또한 '일제강점기 ‘징병’의 강제성을 약화시킨 교과서가 검정 통과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하며, 미래 지향적 한·일 관계를 위해 일본 정부는 우리 영토와 역사에 대한 부당한 주장을 즉각 중단해 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 발행인의 생각

어린이안전신문에서 꼭 다루어야 겠다고 생각했다. 미래 청년들을 위한 아니 청년이 될 어린이의 안전을 위해 올바른 역사인식은 기본이 되어야 한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없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본 어린이들이 커서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청년들과 이웃국가 친구가 되려면 올바른 역사인식을 가지고 서로 함께 나가야 하는 것이다. 잘못된 역사인식으로 논쟁을 야기시키는 일본 어른들의 행동은 해서는 안된다.

일본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해 이번 소재를 선택했다. 올바른 역사 인식으로 양국의 청년, 어린이들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하며 도마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가 진심으로 이루졌으면 한다.

13년전  캐나다에서 일본인 학생과 언쟁을 버리던 그날이 생각난다. 나도 무지했지만 그도 무지했고, 이러한 행동은 반복되면 안된다. 그 교육은 "진짜 어른"들로부터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진짜 어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되며 "진짜 어른"이 되기는 어렵고, "진짜 어른"을 만나고 싶은 하루이다.

 

연합뉴스 기사의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우리나라 언론을 응원합니다.

 

∞ 잠깐 지식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1998년 10월  8일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小渕恵三) 일본 총리가 채택한 합의문으로,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으로 더 알려져 있다.


1998년 10월 8일 일본 도쿄를 방문한 우리나라의 김대중 대통령과 일본의 오부치 게이조 총리가 서명한 공동선언을 말한다. 당시 양국 정상은 한일 양국 간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미래 지향적인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과거사 인식을 포함한 11개 항의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여기서 일본은 1995년 8월 15일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총리의 '전후 50주년 특별담화'를 기초로 과거 식민지 지배에 대해 '통절한 반성과 마음에서의 사죄'를 문서화했다.

또 공동선언문 부속문서로 ▲정상회담 연 1회 이상 실시 ▲대북정책 공조 ▲민관투자촉진협의회 개최 ▲청소년 교류 확대 등 5개 분야 43개 항목의 '행동계획(Action Plan)'도 채택했다. 아울러 일본 수출입은행의 차관 제공, 한국 내 일본문화 개방, 한국 공과대학 학부 유학생의 일본 파견 등을 약속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