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공단,음주운전 사고 다발지역 316개소선정
최근3년간,반경 100m내 음주운전사망ㆍ중상사고가 3건이상 발생한지점
도로교통공단은 교통사고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주운전 교통사고가 비교적 많이 발생하고 있는 ‘음주운전사고 다발지역 ’316개소를 선정하고 발표했다.
2022년 음주운전으로 발생한 교통사고는 15,059건으로, 214명이 사망하고 24,261명이 부상을 입었다. 음주운전 사고는 연간 꾸준하게 발생하는 사고로 월평균 1,255건, 일평균의 41건의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공단에서 선정한 음주운전 사고 다발지역 316개소는 최근 3년간(2020~2022년) 반경100m내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ㆍ
중상 사고가 3건 이상 발생한 지점이다.
음주운전 사고다발지역을 살펴보면 ‘서울 논현동 교보타워 사거리’,‘청담동 청담스퀘어 부근’이 각각 7건의 사고로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하였으며,‘인천 남동구 도림사거리’,‘대전중구 충대병원 네거리’등 에서도 각 4건으로 많은 음주 운전사고가 발생했다.
도로교통공단 데이터융합처 박해수 과장은 “매월 음주운전으로 18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있다”며, “‘단속만 피하면 된다’는생각으로 하는 음주운전은 결국 본인과 피해자의 가족구성원들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와 고통을 주는 범죄행위임을 인식하고, 술자리에 차를 가져가지 않는 등 음주운전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고 강조했다.
∞ 발행인의 생각
사고다발지역이 데이터로 분석이 가능하면 그 사고다발지역으로 유입되는 차들의 시작점 또한 충분히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장소를 중심으로 단속을 하면 음주운전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지금도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하지는 않겠지만 충분히 그런 장소를 자연스럽게 알고 있어 그렇게 하고 있을 것 같긴하다.)
음주운전을 막기위한 단속, 음주운전 시 시동안걸리게 하는 장치 등 많은 법안, 대안이 나오고 있는 건 사실이다. 그러나 모든 법안과 대안에는 구멍이 존재 할 것이다. 결국 위의 기사에서 언급된 '술자리에 차를 가져가지 않는 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란다.
'생활|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 안전 실천 생활화를 위한 「어린이 안전일기 쓰기 공모전」 개최 (0) | 2023.08.30 |
---|---|
6대 불법 주정차 신고법·과태료 총정리 (0) | 2023.08.29 |
안전한 미래 교통환경 기반 조성 (0) | 2023.08.15 |
도로교통공단-국립공원공단, 안전문화 정착 업무협약 (0) | 2023.08.09 |
보행안전을 위한 현재와 미래의 기술..지속적이고 결국은 실천 (0) | 2023.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