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석 달간, ‘겨울철 재난·안전 위험요인 집중신고기간’ 운영
대설, 한파, 화재, 산불 관련 위험요인 발견 시 ‘안전신문고’로 신고
재난 예방 효과가 큰 우수 신고는 최대 100만원 포상금(상품권) 지급
< 우수 안전신고 사례 >
작년 12월초, 안전신문고를 통해 A지역의 커브길이 얼어 교통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내용의 신고가 접수되었다. 해당 신고내용은 소관 기관으로 즉시 전달되어 현장 안전점검이 이루어졌고 제설제 살포 등 개선조치가 이루어졌다.
신고시 | 개선 조 |
![]() |
![]()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겨울철 재난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12월 8일부터 내년 2월 29일까지(석 달간)를 ‘겨울철 재난·안전 위험요인 집중신고 기간’으로 정하고, 안전신문고*를 통해 적극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 안전신문고는 국민 누구나 생활 주변의 재난·안전 위험요인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
- (누리집) www.safetyreport.go.kr / (스마트폰 앱) 구글 ‘play 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안전신문고’를 검색하여 설치
이번 집중신고는 대설, 한파, 화재, 산불 총 4개 유형으로 운영되며, 안전신문고 앱에서 ‘겨울철 집중신고’ 바로가기 메뉴만 선택하면 바로 신고할 수 있도록 신고 화면을 개선하여 국민 편의를 높였다.
< 집중신고 바로가기 > | < 퀵메뉴의 집중신고 > |
![]() |
![]() |
구체적으로 대설로 붕괴 우려가 있는 시설물, 제설물품 부족, 도로 살얼음‧결빙, 동파, 한파쉼터 파손, 비상구 물건 적치‧폐쇄, 인화물질 방치, 소방시설 파손‧고장, 담배꽁초 투기, 불법 소각, 불법 취사 행위 등을 신고하면 된다.
※ 단, 긴급한 상황은 119 또는 112로 신고해야 함(스마트폰 112·119 ‘긴급신고 바로앱’도 활용 가능)
○ 신고한 내용은 행정안전부에서 처리기관을 지정하여 신속하게 이송하고, 처리기관에서 조치한 결과를 신고인에게 문자메시지 등으로 알려준다.
□ 아울러, 행정안전부는 겨울철에 자주 발생하는 재난유형에 따라 집중신고 대상을 지자체와 관련기관에 구체적으로 안내하여 국민들에게 집중신고 기간을 홍보하도록 독려하였다.
○ 행정안전부는 재난‧안전분야의 신고 활성화를 위하여 재난 예방효과가 탁월한 우수신고에 대하여 올해부터 20만원에서 최대 100만원의 포상금(온누리 상품권)을 지급하고 있다.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
'생활|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전교차로는 “양보”와 “서행”, 꼭 기억하세요 (0) | 2024.03.21 |
---|---|
한파 대비 행동요령 (0) | 2024.01.25 |
뱁이네가 대설과 한파를 이겨내는 법 (0) | 2024.01.11 |
도로 살얼음 위험…겨울철 교통안전 수칙은? (0) | 2024.01.10 |
갑작스러운 사고 마련된 출입구 색깔의 유래는.. (0) | 2024.01.05 |
댓글